반응형

오늘은 작년에 제가 신청했던 LH공사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결과 후기 및 진행과정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상세하게 쓸 예정입니다. 또 길어집니다. )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 방법은 제가 전에 쓴 글을 참조 하시면 됩니다. (신청방법은 생략했습니다.)

( 밑에 링크 들어가보시면 상세히 적었습니다. 매입임대주택 신청하실 때 참조하시면 됩니다. )


2020.01.22 - [팁/LH청년주택신청] - 기숙사형청년주택 신청방법 + 리얼후기

2020.03.03 - [팁/LH청년주택신청] - 청년 매입임대주택 신청하기

2021.04.08 - [팁/LH청년주택신청] - 2021년 청년 매입임대주택 직접신청하기 (feat. 공동인증서) part.1

2021.04.08 - [팁/LH청년주택신청] - 2021년 청년 매입임대주택 직접신청하기 (feat.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수월액) part.2

2021.04.11 - [팁/LH청년주택신청] - 2021년 청년 매입임대주택 서류제출대상확인하기(feat.서류탈락)Part.3


위 링크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여러 번 LH공사에 들어가서 임대주택을 신청했었습니다.

( 글을 안 쓰고 임대주택 신청을 한적도 있었습니다. )

오늘은 작년부터 여러 번 임대주택을 신청했던 것 중에 하나를 쓰겠습니다.

( 왜냐면 그중에 하나가 드디어 되었습니다!! )

 

저는 작년에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을 신청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제가 작년에 신청한 것은 2020년 제1차 기숙사형 임대주택 수시모집 공고였습니다.

( 수시모집이 그나마 확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

공고문에 대한 내용 궁금하시면 ↓↓

기숙사형매입임대주택수시모집공고문(최종)★(06.15).pdf
0.29MB

 

신청을 다하고, 예비번호를 받았습니다.

이렇게 LH공사에서 문자로 예비번호 10번을 부여받았습니다.

그러고 예비 10번이라 안 되겠지 하고, 2021년이 흘렀습니다. ( 거의 잊고 있었습니다. )

 

업무를 보다가 한통에 문자가 왔습니다.

2021년 5월 달에 문자가 왔습니다. 자세히 보니 기숙사형 임대주택 계약 체결 안내 등기가 발송되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 드디어!!!! )

이사를 했었기 때문에 주소가 어디로 등록되어 있는지 몰라서 문자 온 전화번호로 전화해서 이메일로 계약 체결 안내 등기를 받겠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전화를 끊고, LH공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예비번호 순위가 변동되어 있는지 확인해봤습니다.

확인해보니 예비순위가 1등입니다!!! ( 10등에서 1등으로 나이스!! )

 

그리고 몇 분 뒤에 이메일 확인을 해봅니다. ( 계약 체결 안내문을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

드디어 이메일을 받아보고, 꾸준히 임대주택을 신청했던 것에 뿌듯했습니다.

 

계약안내물을 확인해봅니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입주할 주택을 주택 개방 기간에 확인을 하고, 계약일시에 계약을 체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우선 주택 개방 날짜에 맞춰 입주할 기숙사형 임대주택에 찾아갔습니다.

( 가시기 전에 해당 임대주택 관리소 전화를 해서 점심시간을 확인하시고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관리소 전화번호도 달랐고, 알려준 관리소 점심시간도 달라서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붙임 문서에 상세하게 나와있지만 주택 개방 날짜에 해당 주택에 방문할 때 계약 체결 안내문을 가지고 가셔야 합니다. 관리소에서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임대주택 찾아가서 관리자분 만나서 본인 확인하고, 같이 동행하에 제가 살 곳을 방문했습니다.

줄자를 가지고 가서 풀옵션이지만 배치를 미리 계산하기 위해서 챘습니다. 사진도 최대한 많이 찍었습니다.

( 전등 ON , 창문개방, 보일러 동작, 수압 확인 등은 아쉽게도 확인이 불가능했습니다. 계약 체결이 완전히 끝나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

그렇게 제가 살 임대주택을 다 확인했습니다.

 

계약일자에 방문하기 전에 위 사진과 같이 서류를 준비해서 계약일자에 계약장소에 방문해야 됩니다.

(저는 주민등록등본과 가족관계 증명서, 본인 명의 통장사본, 계약금을 준비해서 갔습니다. )

계약일자에 계약장소(한국 토지주택공사 해당 주거복지 지사)에 방문했습니다.

(지각하면 순서는 넘어가기 때문에 2~30분 전에 도착해서 기다리는 것이 마음이 편합니다. )

계약일자에 한국 토지주택공사 방문 후기는 다음 글에 올리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2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LH지사방문)

반응형
반응형

카테고리를 다른 곳에 하려다 이곳에 둔 이유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LH공사 기숙사형 청년 주택)을 받기 위한 한 가지 부분이기 때문에 같이 넣었습니다.

저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받기 위해서 이 어플을 이용했습니다.

신한은행 방문예약만 하실분들도 참조하시고 보시면 도움될 것입니다.

 

LET'S GO

우선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기금 e 든든 어플을 깔아서 신청을 하셔야 됩니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기금e든든에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할 때 원하시는 은행과 지점을 선택을 해야 합니다. (LH공사 기숙사형 청년 임대주택에 대한 연관 글을 작성할 때 상세하게 쓸 예정입니다. 물론 직접 해보고!)

 

위 사진을 보시면 기금 e 든든 어플에서 버팀목 전세대출자금 신청할 때 대출 금융기관 선택을 해야 합니다.

(저는 사전에 집에서 가깝고, 신한 쏠 어플로 방문예약이 되는 지점을 찾아서 선택했습니다.)

 

위 사진은 신한 쏠 어플입니다. 빨간 네모 표시로 돼있는 "방문예약서비스 운영" 표시된곳만 방문예약이 됩니다.

(저 표시가 없는 곳은 방문예약서비스 불가합니다.)

(기금e든든으로 대출을 신청하기 전에 신한쏠어플로 들어가서 "방문예약서비스 운영"이 되면서 집에서 가까운 신한은행 지점을 선택했습니다. 또한 기금e든든으로 접속해서 대출신청이 가능한 곳인지 중첩으로 확인했습니다.)

위에 설명은 버팀목 전세대출 시에 상담받기 위하여 제가 편한 방법을 생각해 낸 방법입니다.


그냥 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어플 방법에 대해서 참조하시려고 한다면 이제부터 읽으시면 됩니다.

 

신한 쏠(SOL) 어플을 접속합니다.

 

방문 예약하기를 클릭합니다. 

(혹시라도 방문예약하기 안 보인다면 맞춤메뉴설정에 들어가셔서 방문예약하기를 추가하시고 접속하셔야 합니다.)

 

당일 방문이나 입출금, 통장정리, 환전 등 단순 업무와 모바일 번호표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저는 버팀목 전세대출업무이기 때문에 밑에 방문 예약하기 클릭 )

 

 

방문예약 절차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방문하려는 신한은행 지점을 전날 예약하고, 예약한 시간 20분 전에 도착해서 해당 예약번호 또는 전번 뒷자리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예약 가능 한 곳만 가능)

계속 진행 클릭

 

방문 예약정보에서 방문 지점 돋보기 클릭

 

지역 또는 영업점 입력하시고 돋보기 클릭

위 사진과 같이 "예약서비스운영" 표시가 돼있는 곳만 가능합니다.

해당 지점 선택합니다.

 

그럼 방문 지점은 선택되었습니다. 

밑에 방문 예약일을 지정합니다.

( 제가 이 어플을 이용한 날짜는 6월 1일입니다. )

저는 6월 2일(수)을 선택했습니다.

 

상담업무는 버팀목 전세대출상담이기 때문에 개인대출상담 선택

 

상담직원(선택 가능)에서 눌러보시면 해당 지점 행원분들 이름을 보실 수 있습니다.

행원분 선택 안 하셔도 무관합니다.

(저는 기금e든든을 먼저 신청하고, 버팀목 전세대출 서류심사 때문에 신한은행에서 먼저 연락이 왔을 때 저의 담당이 되신 행원분을 선택했습니다.)

방문예약시간을 선택합니다.

(저는 15시)

그리고 상담내용을 적습니다. ( 안 적으셔도 무방하지만 저는 버팀목 전세대출에 대한 내용을 적어놨습니다. )

그리고 방문예약 등록 클릭

 

위 사진과 같이 나오면 방문예약이 완료된 것입니다. ( 방문예약 번호는 보통 9xxx 같습니다. )

 

이렇게 예약을 완료하면 문자로 위와 같은 문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6월 2일 날 14:48분에 신한은행을 도착해서 대출상담을 받았습니다.

( 운 좋게 제가 지정했던 행원분에 고객과 상담이 금방 끝나서 15:00쯤에 대출상담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추가 서류제출 때문에 같은 은행에 방문예약을 했을 때에는 1시간 정도 기다렸습니다.. 복불복인 듯합니다. )

끄읏~!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6.12 - [기숙사형 임대주택/직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직방에 방 내놓기 Part.1(+준비물포함)


오늘은 직방에 내놓을 방을 내리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 다방에서 방이 체결되어서 마찬가지로 직방에 올린 방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하하. )

 

직방은 핸드폰 어플을 설치 안 해서 PC로 하겠습니다. (전 어플 새로 설치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ㅎㅎ)

직방 검색하셔서 홈페이지 ㄱㄱ

(로그인은 필수)

원룸 → 방 내놓기(전월세만) 클릭

 

 

방목록을 보시면 올렸던 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중개중으로 떠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방 내리기 클릭

 

방을 내리겠습니까?

확인 클릭

 

확인을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이 중개종료가 뜹니다. 

삭제하기를 해서 완전히 삭제할 수 도 있고, 수정 후 방 내놓기 버튼을 이용해서 다시 올릴 수 있습니다.

( 저는 방이 체결되었기 때문에 다시 올릴 필요 없었습니다. 이제 LH공사 기숙사형 임대주택만 준비하면 됩니다. 이사 완료 되면 천천히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끄읏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6.12 - [기숙사형 임대주택/다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다방에 방 내놓기 Part.1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LH공사 기숙사형 청년 주택에 당첨되어서 방을 다방, 직방, 주변 부동산에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일주일도 안돼서 3가지 방법 중 다방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 나이스!! )

위 사진은 실제로 다방에서 매물을 보고, 연락이 왔습니다. 그리고 날짜를 다음날 잡고, 방을 보러 오셨습니다.

그리고 방을 보시고, 다음날 바로 방이 맘에 드셔서 바로 체결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다방에 방을 내놓고, 내리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모바일로 다방 APP을 깔았습니다. ( 저는 핸드폰에 어플 설치하는 것을 별로 안 좋아합니다 ㅎ)

설치하시고, 위 사진과 같이 다방 어플 클릭

 

전에 PC로 가입했기 때문에 바로 더보기 누릅니다.

( 다방 어플로 처음 설치하고 접속 시 로그인해야 합니다. )

 

그리고 내방 관리를 클릭

 

위 사진을 보시면 "이방은 비공개 상태입니다 "라는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먼저 "비공개 전환" 버튼을 눌렀기 때문입니다.

( 내놓은 방이 공개 상태라면 버튼은 "비공개 전환"이 있겠지만 지금은 제가 비공개 상태이기 때문에 밑에 버튼은 "공개 전환" 버튼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이럼 다방에 방 내리기는 끝입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직방과 마찬가지로 저는 다방에도 방을 내놓았습니다.

(기숙사형 청년 주택에 당첨돼서 이사를 가야 하기 때문에 지금 사는 집의 세입자를 제가 구해야 됩니다.)

(추후에 기숙사형 청년 주택에 대해서 차근히 쓰겠습니다.)

 

방이 빨리 나가야 보증금을 받고, 이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방, 직방, 주변 부동산에 방을 내놓았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다방에 방 내놓기 방법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다방 또한 6월 초에 방을 올렸습니다.

 

다방에 올리기 전에 준비물

  • 임대차계약서 (전용 면적 등을 입력하기 위함)
  • 방내부 사진 (사진을 찍어서 올려야 방을 보러 오겠죠?)

 

다방 홈페이지 go go

오른쪽 위에 회원가입 클릭

 

이메일로 회원가입 클릭 ( 연동하는 거 그냥 찝찝해서.. )

 

약관 동의 필수만 체크체크합니다. (마케팅은 미체크)

모두 동의합니다. 미체크하기

밑에 확인 클릭

 

이름, 이메일, 비밀번호 입력하고 핸드폰 번호 인증번호 입력하고, 이메일 회원 가입합니다.

 

가입 다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방내 놓기 클릭

 

다시 방 내놓기 클릭

 

매물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서부터 임대차계약서를 보시면서 선택합니다.

저는 원룸, 건물 유형은 다가구주택입니다.

 

주소 검색 클릭합니다.

 

방 내놓을 곳을 입력합니다. 위에 사진처럼 검색되면 클릭

 

동이랑 호수를 입력합니다.

 

 

월세 인지 전세인지 입력합니다.

 

건물 크기에서 공급면적이 저는 임대차계약서에 안 나와있고, 전용 면적만 나와있어서 전용면적을 똑같이 공급 면적에 입력했습니다.

난방 종류는 개별난방으로 했습니다.

입주 가능일은 6월 말에 나가기를 원해서 날짜 선택해서 입력했습니다.

 

제가 사는 집은 관리비가 없어서 관리비 없음을 체크했습니다.

나머지는 자신의 방 옵션에 따라서 체크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상세 설명..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방을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사진도 중요하지만 내용도 중요합니다.

제목 및 상세 설명을 써줍니다. (인터넷에 검색하시면 예시나 잘 나옵니다. 저도 그거보고 참고했습니다.)

다방은 직거래를 위한 사이트라서 상세 설명에 인근 부동산 끼고 해야 된다고 썼습니다.

 

준비해뒀던 방 내부 사진을 추가합니다.

( 피터팬이나 직거래하는 방 사진 들을 보면 CASE BY CASE 지만 너무 깨끗한 사진보다는 적당한 옷과 짐이 있는 것이 오히려 허위매물 같지 않다고 합니다. 저는 그냥 사실 그대로 사진 찍었습니다. 직방이나 다방은 허위매물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사진을 다 추가하고 매물 등록을 합니다. 

( 매물관리규정을 확인하였으며, 입력한 정보는 실제 매물과 다름이 없습니다. 체크합니다. )

 

위 설명과 같이 등록한 매물은 30일 날 등록 당일 기준으로 30일간 노출됩니다.

( 직방처럼 중개소 몇 개에 중개되었다고 나와있는 것은 없었습니다. 또한 직방처럼 검수 전화도 없었습니다. )

 

끄읏~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6.13 - [기숙사형 임대주택/다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다방에 방 내리기 part.2(일주일만에 방체결)

반응형
반응형

저는 LH공사 기숙사형 임대주택에서 연락이 와서 급하게 방을 내놓게 되었습니다.

( 추후에 기숙사형 임대주택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양이 많아서 이사를 다하고.. )

그래서 오늘은 직방에 방내놓기 방법에 대해서 써보겠습니다.

직방 올린 날짜는 6월 초입니다.

참고로 집주인에게 부동산에 방 내놓는다고 말하고, 올리시기 바랍니다.

 

직방에 방 내놓기 전 준비물

  • 임대차계약서 ( 전용면적 등을 입력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
  • 내방 사진 ( 방을 내놓으려면 자신의 방 사진이 필수입니다. )

 

준비물 준비하셨으면 GO GO (인터넷 찾아보니 직방 어플로도 올릴 수 있다고 하는데 저는 PC로 방을 내놓습니다.)

인터넷 접속하셔서 직방 홈페이지 ㄱㄱ

 

PC로 직방 들어가시면 이런 화면 보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원룸 클릭

 

방 내놓기(전월세만) 클릭

 

로그인 및 회원가입 클릭

 

가입 시 페이스북, 구글, 이메일 연동됩니다. 

저는 구글 아이디로 

 

계정 선택하시고 전부 동의하고 시작하기 클릭

 

휴대폰 번호 입력하고, 인증번호 받아서 입력하고, 다음 클릭

 

가입하셨으면 다시 방 내놓기(전월세만) 클릭

 

중개사무소에 방 내놓기 클릭

 

위치정보에서 주소를 입력합니다.

 

주소 입력하고, 위치 확인하기 하면, 위 사진과 같이 집 근처 주소가 뜹니다. 그리고 나머지 주소 입력합니다.

 

이제 준비해두었던 방내부 사진들을 등록을 합니다. 저는 8개 정도 찍어서 올렸습니다.

올리는 방법은 +등록 눌러서 사진 첨부하면 끄읏.

 

상세 정보 입력입니다.

임대차계약서를 보고, 작성을 하시는 것이 편합니다.

( 대부분 임대차계약서에 나와있으니 쉬울 겁니다. )

 

이제 입주 가능일을 입력해주고, 방 내부 및 상세 내용을 적습니다.

필요하면 중개사에게 남기는 메시지도 남기면 좋습니다. (EX) 오시기 전에 집주인이나 저에게 연락 바랍니다.

당신은 집주인입니까? 아니오, 세입자입니다. 클릭

집주인 연락처 씁니다.

밑에 집주인의 동의를 받고 연락처를 입력했습니다. 체크

다시 한번 빠진 것이나 오탈이 없는지 확인하시고, 방 내놓기 클릭합니다.

 

그럼 위 사진과 같이 중개사무소에 방 내놓기 완료가 뜨고, 제가 올렸던 주소, 보증금/월세, 건물 형태, 방구조, 전용/계약면적이 나옵니다.

또한 주변 부동산 중개소 105개 중개에 공개되었다고 쓰여있습니다.

 

원룸을 클릭해보면 위 사진과 같이 확인 중이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공실 번호도 입력이 되어 있습니다. )

 

다음날 오후 5시쯤에 직방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직방에 올린 것이 맞는지 그리고 집주인이 올렸는지 알고 있는지 확인 전화가 왔습니다.

저는 맞다고 했고, 집주인도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고 전화 끝

오후 6시에 문자가 하나 옵니다.

직방에서 검수 완료되었다는 문자였습니다.

 

그리고 직방 홈페이지 들어가서 봤더니 확인 중에서 중개 중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직방에서 방내 놓기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간은 30일 동안 방내 놓기가 되고, 그 이후에는 종료가 됩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6.13 - [기숙사형 임대주택/직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직방에 방 내리기 Part.2(방체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