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의 분류를 구분하여 보면 LH공사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의 서류적인 부분은 3-6까지 글이 끝난 부분이고,
4-1부터는 매입임대주택 입주 준비 및 후기들로 구성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그래서 1-1 ~ 3-6 까진 정독을 하셔야 실수를 안 합니다. )
이전 글을 되새겨보면 7월 1일 날 열쇠를 받기로 했고, 가서 먼지와 싸움에 많은 땀을 흘렸고, 이사는 7월 3일에 하기로 했습니다. (친구와 함께 둘이서 2번 옮기기)
7월 3일에 아침 일찍 친구가 차를 가지고 와서 기존 집에서 짐을 넣고, 부르릉~
두 번을 와따가따 했습니다.
짐이 얼마 안 됩니다. :) 이날 또 비가 내렸는데 이사를 다하고, 비가 엄청 내려서 다행이었습니다.
( 안 그랬으면... 으으윽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
그리고 7월 5일 날 저상형 침대를 구매해서 설치를 완료했고, 추후에 창문 쪽으로 빛이 너무 들어와서 안 뚫어 고리와 암막커튼을 설치해서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제일 난해 했던 건 공과금 납부였습니다.
이사하면서 발생한 모든 것들을 공과금으로 정의하겠습니다.
공과금 : 전기세, 가스세, 수도세, 관리비, 월세 (중요 중요!)
1. 전기세 ( 저는 명의 변경했습니다. 안 하셔도 무관하지만 저는 신용카드 공과금 10% 할인 때문에 )
LH공과금 해당 지구 담당자 연락해서 고객번호 알아야 합니다.또는 한국전력(전화번호: 123)에 전화하셔서 주소 조회하고 고객번호 조회 가능합니다. ( 저는 LH공과금 해당 지구 담당자 연락해서 전기, 가스, 수도 고객번호 받았습니다. )
저는 7월 1일 날 입주했기 때문에 그날 LH공과금 담당자와 통화해서 7월 요금은 8월 중순쯤에 종이고지서 발송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 8월 초에도 종이고지서가 안 날아와서 LH공과금 담당자 통화하고, 한국전력에 고객번호 조회해서 납부했습니다. 그다음부터 저는 자동이체 등록으로 카톡으로 요금이 날아왔습니다. )
이렇게 한국전력에 이사했다고 알려드리고, 자동이체 등록한다고 하면 요금 정산하고, 자동이체 등록되었다고, 카톡으로 날아옵니다. ( 자동이체 등록하고, 다음 달부터 적용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 가스세 ( 마찬가지로 저는 명의 변경했습니다. 안 하셔도 무관하지만 저는 신용카드 공과금 10% 할인 때문에 )
가스도 LH공과금 해당 지구 담당자 연락해서 고객번호 알아야 합니다. 또는 예스코에 전화하셔서 주소 조회하고 고객번호 조회 가능합니다. ( 저는 LH공과금 해당 지구 담당자 연락해서 전기, 가스, 수도 고객번호 받았습니다. )
이것도 8월 10일 날 전기세와 가스세 정산 다하고, 자동이체 등록해버렸습니다.
이렇게 예스코 전화해서 고객번호 가지고, 상담원 분과 통화를 하고, 요금 정산하면 카톡으로 옵니다.
2달에 한 번씩은 수도세입니다. 매달 말에 고지서가 온다고 합니다. 7월 말에 문의했을 때 2달분이 8월 말에 고지서를 우편으로 받을 수 있다고 했지만 안온 케이스..(결국 LH공과금 담당자가 혹시나 했는지 수도세 납부일 이틀 전에 전화 와서 고지서 받았냐고 했다는 썰.. 고객번호 받으셔서 꼭 내세요. LH공과금 담당자가 수도세 자동이체해주신다고 해서, 등록 완료.) 저의 지역 담당은 중부 수도사업소(02-3146-2000)에 전화해서 문의하면 됩다고 합니다.
4. 관리비 (SK브로드밴드[인터넷+SKB] 포함)
이것도 마찬가지로 우편으로 고지서가 매달 말에 온다고 합니다. 7월분이 8월 말에 왔습니다. 사용한 달이 다음 달에 고지서가 우편으로 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정상적으로 저의 우편함에서 받을 수 있었습니다.
관리비 상세내역 보시면 인터넷 요금이 포함된 가격이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요금 어디에다 내는지 궁금했었는데 마침 관리비 내역에서 알 수 있었습니다.
SK브로드밴드는 인터넷과 TV 단말기까지 포함한 가격이 4,750원!! 기숙사라서 엄청 쌉니다. )
혹시나 해서 말씀드립니다.
인터넷은 해당 관리사무소 연락하셔서 키 받으러 가실 때 해당 기숙사 담당 전화번호 받으시고, 입주날짜 알려드리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