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글

2021.08.21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5직접하는 마이너스통장 개설하기 (feat.신한쏠SOL)


이전 글은 제가 30%를 마이너스통장으로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전환보증금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마이너스통장 개설 및 사용 후기였습니다. ( 70%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로 하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저는 6월 22일 날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에 전화해서 열쇠 수령 신청을 했습니다.


열쇠 수령방법 및 입주 준비에 관한 궁금한 점은 ↓↓

2021.08.2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주준비] - 4-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주준비하기 (feat.열쇠수령 및 TMI)


 

7월 1일 날 입주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기본 보증금 입금만 해도 입주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추후에 입주하고, 전환보증금으로 전환 가능합니다. )

 

 

7월 6일 날 갑자기 오전에 신한은행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행원분이 전화 와서 깜빡 잊고, 요청안 한 서류가 있다고 하셔서 비대면 약정으로 완료를 했습니다. 그것은!!

위 사진과 같이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입니다. ( 처음부터 가지고 있었지만 행원분이 말씀을 안 하셔서... )

 

이렇게 시간이 흐르고!!!

 

대망의 버팀목 자금 대출실행일 마지막 날 7월 7일이고, 신한은행 세 번째 방문입니다.

( 방문 하루 전에는 전과 마찬가지로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 예약하기 어플 사용해서 오후 3시로 예약을 했습니다. )

 

제가 7월 7일에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3-4 글에도 언급했지만 정리하겠습니다. )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보증료가 출금될 통장에 잔금 10만 원 정도 유지하기 ( 보증료 + 타 은행이체수수료 )
  • 마이너스통장으로 전환보증금 30% 잔금 입금하기
  • 수정 계약서 받으러 LH지사 방문하기
  • 전입신고하고, 등본 출력하기
  • 수정 계약서와 등본 가지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신한은행 지점 제출하기

( 하루 안에 별거 아니지만 클리어해야 합니다. 할 일이 많습니다.. 하악하악 )

 

우선 7월 7일 9시 19분에 위 사진과 같이 신한은행에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문자가 왔습니다.

 

 

LH공사에서도 위 사진과 같이 문자가 왔습니다.

그리고 저는 나머지 잔금 30%(10,180,000원)를 LH전환보증금 계좌에 입금하였습니다.

( 나머지 70%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금이겠죠? 28,200,000원 )

 

그리고 9시 52분에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금 보증료가 출금되었습니다. 금액은 59,740원입니다.

위에 9시 19분에 나온 대출금 타행송금은 생각보다 싸서 놀랬습니다. 500원. ( 전환보증금 계좌로 타계좌 송금 신한 → 국민 )

그럼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보증료 + 전환보증금 타 은행이체수수료, 마이너스통장으로 전환보증금 30% 잔금 입금하기를 클리어합니다.

 

이제 수정 계약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LH중부권주거복지지사를 방문합니다.

처음에 수정계약서를 몇 층에서 발급하는지 몰라서 1층 마이홈센터에서 물어보고 10층으로 올라갔습니다.

 

10층 올라가서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가서 직원분께 수정 계약서 발급받으러 왔다고 말합니다.

( 점심시간은 12:00 ~ 13:00 피해야 될 것 같습니다. )

그럼 신분증 달라고 하시고, 옆에 앉아 계시라고 말씀해주십니다.

해당 구역 담당자분 오셔서 몇 가지 인적사항 물어봐 주시고, 20분 정도 있다가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수정 계약서랑 계약 사실확인원을 받고 나왔습니다.

그렇게 수정 계약서 발급을 클리어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주민센터 가서 전입신고를 합니다.

인터넷으로 해도 되지만 바로처리가 안되기 때문에 직접 근처 주민센터 가서 수정 계약서 및 임대차계약서를 가지고, 전입신고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필요한 등본을 400원 지출하고, 발급받았습니다.

 

다시 신한은행 방문 전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신한은행에 제출해야 할 서류를 체크합니다.

  • LH 임대주택 수정 계약서
  • 전입신고한 주민등록등본
  • 계약 사실확인원

마지막으로 오후 3시로 예약했던 신한은행 지점 방문을 합니다.

 

이번에도 앞 고객이 있어서 오래 걸릴 줄 알았지만 행원분이 일처리 도중에 저를 보시더니 서류만 주시고, 가라고 하셔서,

수정 계약서 원본 드려서 복사하시고, 계약 사실확인원, 등본 드리고 끝났습니다.

 

그리하여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마이너스통장 대출 납부가 끝이 났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후 부터는 입주준비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8.2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주준비] - 4-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주준비하기 (feat.열쇠수령 및 TMI)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8.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4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두번째 방문(feat. 마이너스통장)

 


오늘은 마이너스통장 부분에서만 글을 쓰겠습니다.

(버팀목전세자금대출에 대한 내용은 다음글 3-6글을 이어보시면 됩니다.)

 

이전에 저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계약서를 작성했고, 마이너스통장을 개설을 했습니다.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실행일은 7월 7일로 결정했고, 마지막 세 번째 신한은행 지점 방문 또한 같았습니다.

그리고 마이너스통장 개설일은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6월 14일 날 개통된다고 행원분이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6월 15일이 지나도 6월 16일이 지나도 마이너스통장이 동작(?)이 안됩니다.

( 지점 전화하려 했지만 7월 7일 전에만 실행되면 되겠지 생각하고 기다렸습니다. )

테스트를 이렇게 했습니다.

신한 쏠(SOL) 들어가면 위 화면처럼 나옵니다.

오른쪽 위에 세줄 클릭합니다.

(마이너스통장 되는지 안되는지 확인해보는 방법입니다.  마통 개설 안하신 분은 패스)

 

상품 → 대출 클릭

 

대출 진행 현황 조회/실행 클릭

 

위 사진을 보시면 일반자금 대출 엘리트론(유동성 한도) ← 이것이 마이너스통장이고, 진행 종료라고 표시되어있습니다.

이상하다고 여겼습니다.

 

그 밑에 버팀목 근로자 전세자금 대출(주신보)은 서류 확인 중이라고 떠있는데 말이죠.!

( 신청금액에 대한 궁금하신 분은 1-2번 글 찾으셔서 보시면 됩니다. 계산 방법 나옵니다. )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2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LH지사방문)


 

그렇게 궁금증은 부풀어만 가고, 저는 7월 7일 날 마통이나 버팀목 전세대금 대출만 되면 되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6월 17일 날 오후 1시쯤 신한은행 담당 지점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행원분이 말씀하시기를

6월 11일 날 마통 개설 계약서 작성 시 대출 날짜 입력을 잘못 처리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불편하시겠지만 비대면 약정 문자를 보냈다고, 하셔서 링크 들어가셔서 전자 계약하면 된다고 하십니다.

이렇게 링크를 들어가면 신한 SOL로 연결이 되고, 개인정보 입력하고, 확인하면 신청 완료됩니다.

 

그리고 마이너스통장 대출금리 산정 내역서도 링크를 보내주셨습니다. 궁금해서 링크 들어가 봤습니다.

 

이전 글에서 봤던 마이너스통장 금리이랑 별 차이 없습니다.  0.73 + 1.8 = 2.53% 보고 확인 클릭

이렇게 행원 분과 통화를 하면서 비대면 약정 계약을 완료를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마통을 처음 써보기 때문에 사용법에 대해서 물어봤습니다.

 

1. 이자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1000만 원을 마이너스통장으로 이체하거나 사용했다고 하면 오늘 기준으로 2.53% 금리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금리는 매일매일 변동되기 때문에 확인을 해야 된다고 합니다.

천만 원을 빌렸다고 가정하고, 계산식은 이러합니다.

1000만 원 * 0.0253 * 1일(사용날짜)/365 = 0.069315.. 대략 693원 (1일 기준, 하지만 변동금리 기억 필수!)

10일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6,930원 → 1000만 원 * 0.0253 * 10일/365 = 약 6,930원

100일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69,300원이라고 알려주십니다.

 

2. 이자 납부일은?

납부일은 선택을 할 수 없고, 매월 첫째 주 금요일에 이자가 나간다고 합니다.

(어플로 미리 이자를 먼저 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제가 궁금했던 질문을 속 시원하게 해결해주셨습니다. ( 감사합니다 )

마지막으로 행원분이 마이너스통장은 금일 오후 3시 30분 이후에 마이너스통장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십니다.

 

그러고 시간이 흐른 뒤~

3시 30분이 되자 마통이 개설되었다고 문자가 옵니다.

 

바로 신한 쏠(SOL) 어플 들어가 봅니다.

출금 가능금액이 늘어나서 

이제 안심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마이너스통장은 개통이 완전히 해결되었고, 이제 7월 7일 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만 잘 해결되면 됩니다.

 

7월 7일 신한은행 지점 마지막 세 번째 방문 후기도 올리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8.22 -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6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마지막 방문(feat. 할일태산)

 

3-6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마지막 방문(feat. 할일태산)

이전글 2021.08.21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5직접하는 마이너스통장 개설하기 (feat.신한쏠SOL) 이전 글은 제가 30%를 마이너스통장으로 LH기숙사형 매입

kre2020.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8.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방문전(feat. TMI+마통)


드디어 6월 11일이 되었습니다.

오후 2시에 지정은행 방문을 위해서 저는 신한은행 모바일로 방문예약을 했습니다.

그래서 대략 오후 1시 40분에 신한은행을 도착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오래 기다릴 줄 몰랐습니다. 이날은 운이 안 좋은 날인 것 이 확실했습니다.

 

왜냐면 제가 지정한 행원분은 중간에 계신 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오후 1시 40분에 도착해서 오후 2시 40분 ( 약 1시간 )의 기다림은 참 지루했기 때문입니다. ㅎ

위에 전광판 보시면 3곳 다 제 이름으로 떠있습니다.

드디어 제 차례!!!

행원분이 요청하셨던 2020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이전 글에 말했던 것처럼 마이너스통장 신청서도 같이 작성했습니다. 

우선 마이너스통장 대출부터 가입신청서를 작성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마이너스통장 결정 금리는 0.65 + 1.8 = 2.45%입니다.

그리고 우대 금리로

월급통장이면 0.5% 인하,

신용카드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0.3% 인하,

적금 10만 원 가입 시 0.2% 인하였습니다.

저는 월급통장이랑 신용카드만 했고, 나중에 적금은 가입한다고 했습니다.

(지금 와서 이야기하지만 그때 적금 가입할걸 그랬습니다. 글 쓰고 있는 시점에서 변동 금리라서 더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ㅠ 하지만 추후에도 적금 가입해서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

이렇게 마이너스통장 금리는 가산금리 2.6 + 기준금리(고정금리) 0.65 = 3.25% 에서

3.25 - 0.5 - 0.3 =  2.45% 결정 금리가 나옵니다.

 

마이너스통장 한도는 회사 급여[연봉]에 100%로 라고 합니다.

(작년까지는 급여에 150%였는데 바뀌었다고 합니다. ㅠ)

그렇게 마이너스통장 신청서를 작성 및 설명을 듣고, 마통 가능 날짜는 6월 14일이라고 합니다.

 

그다음 기다리고 기다리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계약서 신청입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는 2% ( 전자계약인줄 알았으나 아님 )

저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실행일을 7월 7일(수) 오전 10시로 정했습니다.

 

그리고 7월 7일(수) 날 신한은행 와서 마지막 서류 제출 및 해야 할 것들을 알려주십니다.

  • 지정 통장에 잔금 10만 원 ( 보증료 약 60,000원 정도 + 타 은행이체수수료 천 원 )
  • 마이너스통장(내 급여통장) → LH 전환보증금 30% 잔금 입금
  • LH 임대차 수정 계약서 제출
  • 이사 갈 LH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전입신고해서 등본 제출

 

다 끝나고 카톡 하나가 옵니다.

이렇게 해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계약서 작성과 마이너스통장 개설이 끝났습니다.

 

이제 7월 7일 날 한 번만 은행을 더 방문만 하면 끝입니다.

마지막 방문 후기도 이어서 올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8.21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5직접하는 마이너스통장 개설하기 (feat.신한쏠SOL)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8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첫방문(Feat. 서류체크&질문)


한 달 만에 글을 씁니다. ( 요즘 너무 바빠서 포스팅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

이전 글을 보시면 저는 6월 1일 날 서류를 제출하기 위해서 은행을 첫 번째 방문했고,

두 번째 방문일 6월 11일로 잡았습니다. ( 또 전날에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예약으로 했습니다. )

 

그리고 다음날(6월 3일) 오전에 카톡 하나가 날아옵니다.

LH공사에서 보낸 임대료 고지서 본인인증이었습니다.

'열람하기' 눌러주고 개인정보 입력했습니다.

LH 임대료 고지서 본인인증을 완료하면 위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왔습니다.

받을까 말까 하다가 받아봅니다.

 

받아 보니 신한은행에서 버팀목전세자금대출에 대한 현장방문 담당자라고 합니다. 제가 계약하려는 LH공사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현장검증을 위해서 전화드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아직 입주를 안해서 키를 받기 전까지는 들어가시기 힘들거라고 전달해드리고, LH담당지역 담당자 전화번호를 알려드리고 끊었습니다. ( 참고로 신한은행 현장방문 담당자는 제가 계약할려는 주택이 LH공사 매입임대주택인지 모르는 눈치였습니다. )

 

'전세 지킴 보증' 가입하라고 문자가 왔는데 그냥 패스했습니다. ( LH공사 임대주택이니까 )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6월 8일 날 신한은행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행원분이 전화가 왔습니다.

저번에 말씀드렸던 것과 같이 6월 11일 날 계약서를 작성하게 될 거고 2020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꼭 준비해달라고 하십니다. ( 저는 이서류를 첫 번째 방문 때 다른 서류를 드렸기 때문에... ㅠ)

 

여기서 또 저는 몇 가지 질문을 했습니다.

1.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실행일을 변경이 가는 한지?

YES. 계약서 쓰기 전까지는 날짜 변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연이자가 몇퍼인지? 2% 

( 이전 글 보시면 전자계약인 줄 알았지만 아니라서 2% ㅠ)

 

3.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받게 되고 월 얼마씩 이자를 내야 하는지?

2820만원*0.02(2%) = 564,000원/12 = 약 월 47,000원


2820만원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중요중요)


4.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보증료 및 타계좌 이체 수수료는 얼마나 나가는지?

대략 61,000원이고, 타계좌 이체 수수료는 대략 천 원 미만 정도라고 합니다.

 

5. 마이너스통장 대출 가능한지?

YES. 하. 지. 만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하려면 버팀목 대출자격심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마이너스통장으로 인해서 부채가 늘기 대문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자격 재심사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 저는 LH 매입임대주택에 30%를 자비로 해결하려고 했지만 마이너스통장이 이자가 저렴하다고, 직원분들이 알려주셔서 물어보게 되었습니다. )

그래서 모든 질문을 다하고, 행원분은 6월 11일 날 오후 2시에 마이너스통장 대출 신청과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계약서를 작성하겠다고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정말 두 번째 방문은 다음 글에 이어서 쓰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8.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4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두번째 방문(feat. 마이너스통장)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7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방문(Feat. 필요서류&질문)


 

제가 쓰는 모든 글들은 자세히 안 읽고 준비하다가는 실수하실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정독(?) 해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오늘은 6월 2일 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필요서류를 가지고, 제가 지정했던 은행 지점에 가서 은행원분에게 서류제출, 서류 체크, 질문사항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 완벽히 했다고 했지만 또 방문해야 됩니다. ㅠ)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6월 1일 날 은행 지점 행원 분과 통화를 끝나고,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예약을 했습니다.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예약하는 자세한 내용은 ↓↓

2021.06.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 직접하는 신한은행 방문예약하기 (+신한 쏠어플필수,버팀목전세자금대출 지점 선택시 유용)


저는 신한 쏠 어플로 6월 2일 오후 3시로 예약했습니다.

 

모바일 방문예약 때문에 편하긴 했습니다. ( 앞에 사람이 있다면 좀 기다려야 하는 것이 있지만... 예약이니까.. 편합니다. ㅎㅎ)

 

드디어 6월 2일이 되는 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필요서류 다시한번 체크하고, 가지고 제가 지정했던 은행 고고 합니다.

위에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14:48분에 도착해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다행히 앞사람분 업무가 빨리 끝나서 15시에 바로 행원분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

만나서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서류를 드렸습니다.

1. 신분증

2. 주민등록등본( 주민번호표시 )

3. 가족관계 증명서

4. 임대차 계약서 원본

5. 계약금 영수증 (5% 이상 납부)

→ 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으로 대체 (LH공사 홈페이지로 출력가능)


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 발급방법 ↓↓

2021.07.18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 출력하기] - 직접하는 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 출력하기(Feat. 공동인증서필요)


6. 재직증명서 (회사 직인 날인)

7.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회사 직인 날인)

저는 1년 미만 재직이라서 전체 급여내역서 뽑아서 회사 직인 날인은 힘들어서 회사에 문의하니 비슷한 소득자별 근로소득원천징수부로 대체 ( 하. 지. 만. 소득자별 근로소득원천징수부는 소득계산이 되지만 죄송하게도 증명서류로는 불충분하다고 하셔서 다음에 내방하실 때 2020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회사 직인]을 제출해달라고 하셨습니다. ㅠ)

*혹시나 해서 써놓습니다. 2020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홈텍스에서 뽑게 되면 회사직인 안찍혀 나옵니다. 그러니까 작년에 연말정산했을때 회사에서 받은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시던지 아니면 회사직인을 찍으셔야 합니다.

(회사에서 받은 2020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날짜가 2021년 2월이었는데 행원분이 상관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준비해온 질문사항들을 물어봤습니다.

 

1. 기금 e 든든에서 전체 임대보증금을 잘못 입력했는데 수정이 가능한지?

Yes (전환보증금만 입력해서, 기본 임대보증금+ 전환보증금으로 입력했어야 됐는데 수정 처리해주셨습니다.)

 

2. 기금 e 든든에서 마지막 담보 종류 선택에서 '채권양도 협약기관 입주자' 체크를 했고, 임차보증금 반환채권 양도계약서에 대해서 물어보니 LH지사 방문하셔서 추천서를 받아서 내야 하나 지금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은 해당사항이 안된다고 했습니다.

 

3. 임차보증금 반환채권 양도계약서가 보증료와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료 차이가 많이 나나요?

→ 현재 코로나로 인해서 비대면 할인이 있어서 별 차이 없다고 답변받았습니다.

 

4. 그래서 저는 담보 종류를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로 변환 가능한지?

yes (참고로 주택도시 보증 공사[HUG] 보증서는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할 때 선택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시원한 답변을 해주신 행원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사전 적격심사 서류를 수기로 작성하고 끝

( 알아야 할 사항 : 현재 집주소, 이사 갈 집주소, 회사주소, 회사 전번, 회사주소 등등 인적사항 )

추가로 행원분이 최대 전환보증금 받게 되면 월 임대료 얼마씩 내야 하는지 적어야 된다고 하셔서 LH공사 전환보증금 담당자분 전화 연결해드렸습니다. ( LH전화 보증금 입금 안내 서류도 복사하셨습니다. 추후에 여기에 나와 있는 계좌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금을 입금해야하기 때문입니다. )

마지막으로 버팀목전세자금대출 계약서 작성을 위해서 다음 방문 예정일을 조율하고, 다음에 가져올 서류 다시 한번 체크했습니다.

저는 ONLY 2020년 원천징수 영수증(회사 직인 있는 것)

날짜는 6월 11일로 잡았습니다.

횟수로 은행 방문 두 번째 후기는 다음 글로 쓰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총 3번 은행을 방문했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8.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방문전(feat. TMI+마통)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중요중요)


오늘은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기 위한 기금 e 든든 자격심사 및 예비 자산심사를 통과했습니다.

( 기금e든든 접수 날짜는 20210531이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희망일을 7월 1일로 지정했었습니다. )

그리고 저는 지정된 은행에서 전화오기 전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가 궁금해서 20210528에 신한은행고객센터에 먼저 전화를 했습니다. 

(신한은행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02-1577-8000입니다. )

그리고 저의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려드리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문자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서류가 있나 싶어서 사전에 고객센터에 문의를 했습니다. )

위 사진은 신한은행고객센터 직원분에게 문의해서 받은 문자 내용이나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은행 지점별로 서류제출은 다릅니다.

대충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되는지 인터넷 정보와 위 은행고객센터 내용을 토대로 서류를 모았습니다.

 

 

 그리고 20210601 오후 4시쯤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신한은행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받기 위해서 제가 지정했던 신한은행 지점의 xxx행원이라고 알려주십니다.

기금 e 든든 사전 적격심사 통과했고, 해당 지점으로 서류제출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십니다.

통화하면서 카톡으로 서류제출에 대한 내용을 보내주셨습니다.

 

 

여기서 저는 필요 서류 목록에 대한 몇 가지 궁금한 점을 질문합니다. ( 중요! 중요! )

( 인터넷에 정확히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서류가 정확히 안 나와 있었습니다.)

1. 신분증

2. 주민등록등본 (주민번호표시)

3. 가족관계 증명서

4.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 → LH공사라서 안 받아도 되지만 저는 주민센터 가서 받았습니다. ( 인터넷 정보에서도 나와있는 정보가 없었습니다. )

5. 계약금 영수증 (5% 이상 납부) → 기본 보증금 60만 원 + 전환 최대 보증금 3980만 원 = 전체 보증금 4040만 원 * 0.05 = 202만 원 

*사전에 LH공사 계약 체결 시 기본 보증금 60만 원에 10%(6만 원)를 넣었습니다.


6만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3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입사안내)


즉, 기본 임대료 54만 + 전환보증금 142만 원 = 196만 원만 넣으면 됩니다.

( 여기서 기본 임대료 계좌와 전환보증금 계좌는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보시고 넣으셔야 됩니다. )

→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으로 대체 ( 추후에 출력하는 방법 다룰 예정 입니다. )

6. 재직증명서 (회사 직인 날인)

7.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회사 직인 날인) → 직장이 1년 미만이기 때문에 전체 급여내역서 뽑아서 회사 직인 찍기로 대체 (하지만 나중에 2020년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도 된다고 해서 그걸로 대체했습니다. )

위 필요서류에 대한 질문을 다 끝나고, 은행 방문 날짜를 조율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 하기로 정했습니다.

( 웬만한 서류는 사전에 다 준비했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기금 e 든든 어플을 들어가 보았습니다.

사전 자산 심사에서 은행 심사 중(은행 영업점 문의 후 방문 부탁드립니다.)이라고 쓰여있습니다.

다음날 제가 정한 신한은행 지점 방문을 위해서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예약을 했습니다.


모바일 방문예약의 자세한 내용은 ↓↓

2021.06.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 직접하는 신한은행 방문예약하기 (+신한 쏠어플필수,버팀목전세자금대출 지점 선택시 유용)


6월 2일(다음날)에 제가 정한 은행 방문 후기는 다음 글에 이어서 쓰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8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첫방문(Feat. 서류체크&질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