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스크래핑신청하기(Feat. TMI)


여기가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대상주택기본정보

1. 주택유형 : 오피스텔 ( 기숙사가 없어서 인터넷으로 지명 찾아본 결과 오피스텔 선택 )

2. 주택 주소 : 임대차계약서(LH공사 지사에서 받은 주택임대차계약서) 보고 작성

3. 전용면적 : 임대차계약서에 나와있는 전용면적 작성( 전체 면적이 아닙니다. )

4. 임차보증금 : 

LH공사에서 계약하고, 받은 전환보증금 입금 안내문을 보면

기본 임대조건에서 임대보증금 600,000 + 39,800,000 = 40,400,000원을 적어야 합니다.

(저는 잘못 적어서 나중에 고쳤지만 이글 보시는 분들은 정확히 해야겠죠? 시간은 금입니다. )

5. 계약일자 : 첫날 LH지사 가서 기본 보증금 10% 넣고 임대차계약서 쓴 날짜 쓰면 됩니다.

( 언젠지 모르신다면 이전 글 1-2를 보시길 바랍니다. ↓↓ )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2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LH지사방문)

위에 1~5번 내용만 잘 적으시면 거의 다 쉽습니다. ( 이것 때문에 여기까지 온 겁니다. ㅎㅎ)

 

5. 우대금리정보

해당되는 우대금리 체크하시면 됩니다. ( 저는 해당 없음 )

 

저는 부동산 전자계약 체크했지만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다음 클릭

( 밑에 부동산 전자계약 체크했던 이유 썼습니다. ㅠ)

임대차계약서 보시면 컴퓨터로 입력돼서 전자계약인 줄 알았으나... 해당사항 안됩니다.

( 나중에 알았습니다. 버팀목 전세대출 은행 상담원한테 물어봤을 때 전자계약은 계약서에 전자문서라고 동그란 도장 표시가 되어있어야지만 우대금리 0.1% p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은행 직원도 그거 한 사람 몇 못 봤다고 합니다.)

 

6. 대출조건

여기서도 중요합니다.

1. 대출신청 금액 :

 보증금 전체에서 저는 신규라서 70%만 가능합니다. 즉 4040만 원 X 0.7 = 2828만 원 적어야 하지만

" 대출신청금액은 십만 원 단위로 입력해주세요. " → 2820만 원적 습니다. ( 몬가 손해 보는 느낌 아닌 느낌 )

 

2. 희망대출일자 : 여유시간 두고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저는 은행 직원 만났을 때 변경했습니다. )

 

 

대출 금융기관 선택*

전체 지점 조회를 체크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알림이 뜨게 되는데 확인 누릅니다.

(전체 지점 조회 클릭 안 하면 집 근처 은행 안 뜹니다. )

그리고 원하시는 은행과 지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여기서 신한은행을 선택했고, 사전에 신한은행 어플을 이용해서 모바일 방문예약이 되는 지점을 찾아서 선택했습니다.


모바일 방문예약이 궁금하시다면 ↓↓

2021.06.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 직접하는 신한은행 방문예약하기 (+신한 쏠어플필수,버팀목전세자금대출 지점 선택시 유용)


 

채권양도 협약기관 입주자는 클릭하시면 안 됩니다.

( 더 싸게 보증비용을 하고자 인터넷을 뒤져가며 채권양도 협약기관 입주자를 클릭해서 알아봤지만 주택도시 보증 공사 보증서만 된다고 하고, 저것을 체크하게 되면 LH공사에 가서 추천서도 받아야 됩니다. 체크는 했지만 나중에 은행 직원 만나서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로 변경했습니다. )

담보 종류 안내*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선택합니다. → 다음 클릭

 

거의 다 왔습니다.!!

 

7. 신청 확인

여태껏 작성한 것들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담보 종류 안내에서 다시 한번 확인!!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권양도 협약 기관 입주자 : 해당 없음

(나중에 은행 직원 만나서 변경해주시겠지만 혹시 모르니 할 때 정. 확. 히! )

확인 다하고 '위 내용을 직접 확인하였습니다.' 체크하고, 대출 신청하기 클릭

그럼 드디어 버팀목 전세대출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 대출신청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5월 31일 날 기금 e 든든을 신청해서 대출 희망일을 7월 1일로 지정했습니다.

(하지만 대출 희망일은 나중에 또 변경했습니다.)

 

이상으로 기금e든든 신청방법에 대해서 마치겠습니다.

 

이제 기금e든든에서 제가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상이 적격인지 판단 여부를 확인하고, 제가 선택한 은행 및 지점에서 연락이 오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제가 원하는 지점 은행이 연락이 오고 진행 과정을 추후에 쓰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7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방문(Feat. 필요서류&질문)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청년X)


이전 글 이어서 기금e든든 진행과정에 대해서 작성하겠습니다.

여기서부터는 대출신청인의 서류제출 자동화(스크래핑) 서비스 신청 단계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동으로 5가지 서류( 등본, 가족관계 증명서, 혼인관계 증명서, 기본증명서, 소득금액 증명원 )를 확인하고, 제출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민등록등본에 나온 주소 입력합니다.

 

본인과의 관계에서 부, 모, 배우자, 자녀 중에서 원하시는 것 하나 클릭해서 체크(저는 부) → 성명 아버지 이름 작성 → 공동인증 서명에서 본인 성명 입력, 주민등록번호 입력, 공동 인증서 선택

 

, 공동인증서 비밀번호 입력하고 확인 클릭

 

스크래핑 완료됐다는 글 나오고 확인 클릭 → 서류 확인을 위한 보안 문자 입력 → 확인 완료 클릭

 

잘 되었는지 읽어보고 다음 클릭

 

3개월 이내 결혼 예정 아니라서 아니고 클릭

 

2. 상품 선택

버팀목 전세자금 클릭 → 확인 클릭

 

성명, 주민번호, 현 거주지 주소, 우편물 수령 주소, 핸드폰 번호 입력 → 인증번호 발송되고, 입력하고 확인 클릭 

 

똑같은 자신의 번호 입력이 불가능한 대체 연락처 적습니다. ( 저는 부모님 전번 입력 )

 

직장 있으시면 재직 클릭 → 직종 정보, 직장명, 입사일자, 직장 주소, 직장 전화(없으면 본인 휴대폰) 입력하고, 다음

 

길어서 또 나눕니다. 2-3 (핵심은 다음 글에!!)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중요중요)

반응형
반응형

이전 글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3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입사안내)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LH기숙사형 청년 매입임대주택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래서 전환보증금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서 대출이 필요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카카오 뱅크 전세자금 대출
  • 주택금융공사 전세자금 대출

등의 대출 종류가 나와있었는데 저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일반이 괜찮다고 여겨서 찾게 되었습니다. (이자가 싸서.. )

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이 됩니다.

(위에 은행계좌 없어도 됩니다. 하지만 편의를 위해서는 위 은행중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은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

그리고 나중에 대출을 받고, LH 전환보증금 제도 이용할 때 전환보증금 입금계좌는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입니다. (저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신한은행에서 신청했고 → LH전환보증금 입금계좌 국민은행으로 입금했는데 500원 타은행계좌 출금 비용 들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저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을 체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찾아봤습니다.

기금 e 든든을 먼저 하냐 은행을 먼저 가서 버팀목 전세대 출상 담을 먼저 받느냐 의견들이 분분했습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이 정도였습니다. ㅎㅎ)

저는 신한은행에 전화를 해서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되는지 물어봤습니다.

상담원 분은 우선 기금e든든 어플을 설치하시고, 버팀목전세대출을 상담을 받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순서대로 기금e든든 설치부터 시작했습니다. ( 설치 및 작성내용들이 많습니다.! )

 

let's go (휴대폰으로 신청했고, 공동 인증서는 필수입니다.)

구글스토어에서 "기금 e 든든" 검색하셔서 설치합니다. 

 

필수적 접근권한 확인 누릅니다. → 사진, 오디오 앱 사용 중에만 허용 → 전화 허용 클릭

 

메인 화면에서 버팀목 전세자금을 클릭합니다.

 

오른쪽 위에 3줄 클릭 → 로그인 클릭 ( 여기서 공동 증명서 필요 )

*버팀목 전세자금에서 밑으로 더 내려가시면 대출한도가 나오는데 신규계약에서 일반가구는 전세금액의 70% 이내에서만 대출이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

 

 

공동 인증서 선택 → 주민등록번호 입력 → 공동인증서 비밀번호 입력하고 다음 클릭

 

대출 신청 클릭 → 주택 전세자금 대출 클릭 

 

예 클릭 → 1. 신청 준비에서 개인정보, 금융정보, 개인 민감정보, 개인신용정보 체크

 

 

나머지 선택적 동의도 전부 체크 → 정보제공 동의하기 클릭 → 공인인증서 선택하고 비번 입력

 

확인 클릭!

길어서 나누겠습니다~! 2-2~~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스크래핑신청하기(Feat. TMI)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