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중요중요)


오늘은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기 위한 기금 e 든든 자격심사 및 예비 자산심사를 통과했습니다.

( 기금e든든 접수 날짜는 20210531이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희망일을 7월 1일로 지정했었습니다. )

그리고 저는 지정된 은행에서 전화오기 전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가 궁금해서 20210528에 신한은행고객센터에 먼저 전화를 했습니다. 

(신한은행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02-1577-8000입니다. )

그리고 저의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려드리고,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문자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는 서류가 있나 싶어서 사전에 고객센터에 문의를 했습니다. )

위 사진은 신한은행고객센터 직원분에게 문의해서 받은 문자 내용이나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은행 지점별로 서류제출은 다릅니다.

대충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되는지 인터넷 정보와 위 은행고객센터 내용을 토대로 서류를 모았습니다.

 

 

 그리고 20210601 오후 4시쯤에 기다리고 기다리던 신한은행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받기 위해서 제가 지정했던 신한은행 지점의 xxx행원이라고 알려주십니다.

기금 e 든든 사전 적격심사 통과했고, 해당 지점으로 서류제출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십니다.

통화하면서 카톡으로 서류제출에 대한 내용을 보내주셨습니다.

 

 

여기서 저는 필요 서류 목록에 대한 몇 가지 궁금한 점을 질문합니다. ( 중요! 중요! )

( 인터넷에 정확히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서류가 정확히 안 나와 있었습니다.)

1. 신분증

2. 주민등록등본 (주민번호표시)

3. 가족관계 증명서

4.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 → LH공사라서 안 받아도 되지만 저는 주민센터 가서 받았습니다. ( 인터넷 정보에서도 나와있는 정보가 없었습니다. )

5. 계약금 영수증 (5% 이상 납부) → 기본 보증금 60만 원 + 전환 최대 보증금 3980만 원 = 전체 보증금 4040만 원 * 0.05 = 202만 원 

*사전에 LH공사 계약 체결 시 기본 보증금 60만 원에 10%(6만 원)를 넣었습니다.


6만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3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입사안내)


즉, 기본 임대료 54만 + 전환보증금 142만 원 = 196만 원만 넣으면 됩니다.

( 여기서 기본 임대료 계좌와 전환보증금 계좌는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보시고 넣으셔야 됩니다. )

→LH공사 계약사실확인원으로 대체 ( 추후에 출력하는 방법 다룰 예정 입니다. )

6. 재직증명서 (회사 직인 날인)

7.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회사 직인 날인) → 직장이 1년 미만이기 때문에 전체 급여내역서 뽑아서 회사 직인 찍기로 대체 (하지만 나중에 2020년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도 된다고 해서 그걸로 대체했습니다. )

위 필요서류에 대한 질문을 다 끝나고, 은행 방문 날짜를 조율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 하기로 정했습니다.

( 웬만한 서류는 사전에 다 준비했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기금 e 든든 어플을 들어가 보았습니다.

사전 자산 심사에서 은행 심사 중(은행 영업점 문의 후 방문 부탁드립니다.)이라고 쓰여있습니다.

다음날 제가 정한 신한은행 지점 방문을 위해서 신한은행 모바일 방문예약을 했습니다.


모바일 방문예약의 자세한 내용은 ↓↓

2021.06.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 직접하는 신한은행 방문예약하기 (+신한 쏠어플필수,버팀목전세자금대출 지점 선택시 유용)


6월 2일(다음날)에 제가 정한 은행 방문 후기는 다음 글에 이어서 쓰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8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 첫방문(Feat. 서류체크&질문)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스크래핑신청하기(Feat. TMI)


여기가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대상주택기본정보

1. 주택유형 : 오피스텔 ( 기숙사가 없어서 인터넷으로 지명 찾아본 결과 오피스텔 선택 )

2. 주택 주소 : 임대차계약서(LH공사 지사에서 받은 주택임대차계약서) 보고 작성

3. 전용면적 : 임대차계약서에 나와있는 전용면적 작성( 전체 면적이 아닙니다. )

4. 임차보증금 : 

LH공사에서 계약하고, 받은 전환보증금 입금 안내문을 보면

기본 임대조건에서 임대보증금 600,000 + 39,800,000 = 40,400,000원을 적어야 합니다.

(저는 잘못 적어서 나중에 고쳤지만 이글 보시는 분들은 정확히 해야겠죠? 시간은 금입니다. )

5. 계약일자 : 첫날 LH지사 가서 기본 보증금 10% 넣고 임대차계약서 쓴 날짜 쓰면 됩니다.

( 언젠지 모르신다면 이전 글 1-2를 보시길 바랍니다. ↓↓ )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2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LH지사방문)

위에 1~5번 내용만 잘 적으시면 거의 다 쉽습니다. ( 이것 때문에 여기까지 온 겁니다. ㅎㅎ)

 

5. 우대금리정보

해당되는 우대금리 체크하시면 됩니다. ( 저는 해당 없음 )

 

저는 부동산 전자계약 체크했지만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다음 클릭

( 밑에 부동산 전자계약 체크했던 이유 썼습니다. ㅠ)

임대차계약서 보시면 컴퓨터로 입력돼서 전자계약인 줄 알았으나... 해당사항 안됩니다.

( 나중에 알았습니다. 버팀목 전세대출 은행 상담원한테 물어봤을 때 전자계약은 계약서에 전자문서라고 동그란 도장 표시가 되어있어야지만 우대금리 0.1% p가 적용된다고 합니다. 은행 직원도 그거 한 사람 몇 못 봤다고 합니다.)

 

6. 대출조건

여기서도 중요합니다.

1. 대출신청 금액 :

 보증금 전체에서 저는 신규라서 70%만 가능합니다. 즉 4040만 원 X 0.7 = 2828만 원 적어야 하지만

" 대출신청금액은 십만 원 단위로 입력해주세요. " → 2820만 원적 습니다. ( 몬가 손해 보는 느낌 아닌 느낌 )

 

2. 희망대출일자 : 여유시간 두고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저는 은행 직원 만났을 때 변경했습니다. )

 

 

대출 금융기관 선택*

전체 지점 조회를 체크하시게 되면 위와 같은 알림이 뜨게 되는데 확인 누릅니다.

(전체 지점 조회 클릭 안 하면 집 근처 은행 안 뜹니다. )

그리고 원하시는 은행과 지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여기서 신한은행을 선택했고, 사전에 신한은행 어플을 이용해서 모바일 방문예약이 되는 지점을 찾아서 선택했습니다.


모바일 방문예약이 궁금하시다면 ↓↓

2021.06.16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신한은행 방문 예약하기] - 직접하는 신한은행 방문예약하기 (+신한 쏠어플필수,버팀목전세자금대출 지점 선택시 유용)


 

채권양도 협약기관 입주자는 클릭하시면 안 됩니다.

( 더 싸게 보증비용을 하고자 인터넷을 뒤져가며 채권양도 협약기관 입주자를 클릭해서 알아봤지만 주택도시 보증 공사 보증서만 된다고 하고, 저것을 체크하게 되면 LH공사에 가서 추천서도 받아야 됩니다. 체크는 했지만 나중에 은행 직원 만나서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로 변경했습니다. )

담보 종류 안내*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선택합니다. → 다음 클릭

 

거의 다 왔습니다.!!

 

7. 신청 확인

여태껏 작성한 것들을 다시 한번 확인합니다.

 

담보 종류 안내에서 다시 한번 확인!! 한국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권양도 협약 기관 입주자 : 해당 없음

(나중에 은행 직원 만나서 변경해주시겠지만 혹시 모르니 할 때 정. 확. 히! )

확인 다하고 '위 내용을 직접 확인하였습니다.' 체크하고, 대출 신청하기 클릭

그럼 드디어 버팀목 전세대출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 대출신청현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5월 31일 날 기금 e 든든을 신청해서 대출 희망일을 7월 1일로 지정했습니다.

(하지만 대출 희망일은 나중에 또 변경했습니다.)

 

이상으로 기금e든든 신청방법에 대해서 마치겠습니다.

 

이제 기금e든든에서 제가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상이 적격인지 판단 여부를 확인하고, 제가 선택한 은행 및 지점에서 연락이 오기를 기다리면 됩니다.

 

제가 원하는 지점 은행이 연락이 오고 진행 과정을 추후에 쓰겠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7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버팀목전세자금대출서류제출&상담] - 3-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은행지점방문(Feat. 필요서류&질문)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청년X)


이전 글 이어서 기금e든든 진행과정에 대해서 작성하겠습니다.

여기서부터는 대출신청인의 서류제출 자동화(스크래핑) 서비스 신청 단계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자동으로 5가지 서류( 등본, 가족관계 증명서, 혼인관계 증명서, 기본증명서, 소득금액 증명원 )를 확인하고, 제출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민등록등본에 나온 주소 입력합니다.

 

본인과의 관계에서 부, 모, 배우자, 자녀 중에서 원하시는 것 하나 클릭해서 체크(저는 부) → 성명 아버지 이름 작성 → 공동인증 서명에서 본인 성명 입력, 주민등록번호 입력, 공동 인증서 선택

 

, 공동인증서 비밀번호 입력하고 확인 클릭

 

스크래핑 완료됐다는 글 나오고 확인 클릭 → 서류 확인을 위한 보안 문자 입력 → 확인 완료 클릭

 

잘 되었는지 읽어보고 다음 클릭

 

3개월 이내 결혼 예정 아니라서 아니고 클릭

 

2. 상품 선택

버팀목 전세자금 클릭 → 확인 클릭

 

성명, 주민번호, 현 거주지 주소, 우편물 수령 주소, 핸드폰 번호 입력 → 인증번호 발송되고, 입력하고 확인 클릭 

 

똑같은 자신의 번호 입력이 불가능한 대체 연락처 적습니다. ( 저는 부모님 전번 입력 )

 

직장 있으시면 재직 클릭 → 직종 정보, 직장명, 입사일자, 직장 주소, 직장 전화(없으면 본인 휴대폰) 입력하고, 다음

 

길어서 또 나눕니다. 2-3 (핵심은 다음 글에!!)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3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중요중요)

반응형
반응형

이전 글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3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입사안내)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저는 LH기숙사형 청년 매입임대주택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래서 전환보증금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서 대출이 필요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카카오 뱅크 전세자금 대출
  • 주택금융공사 전세자금 대출

등의 대출 종류가 나와있었는데 저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일반이 괜찮다고 여겨서 찾게 되었습니다. (이자가 싸서.. )

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이 됩니다.

(위에 은행계좌 없어도 됩니다. 하지만 편의를 위해서는 위 은행중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은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

그리고 나중에 대출을 받고, LH 전환보증금 제도 이용할 때 전환보증금 입금계좌는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입니다. (저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신한은행에서 신청했고 → LH전환보증금 입금계좌 국민은행으로 입금했는데 500원 타은행계좌 출금 비용 들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저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을 체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찾아봤습니다.

기금 e 든든을 먼저 하냐 은행을 먼저 가서 버팀목 전세대 출상 담을 먼저 받느냐 의견들이 분분했습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이 정도였습니다. ㅎㅎ)

저는 신한은행에 전화를 해서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받으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되는지 물어봤습니다.

상담원 분은 우선 기금e든든 어플을 설치하시고, 버팀목전세대출을 상담을 받으라고 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순서대로 기금e든든 설치부터 시작했습니다. ( 설치 및 작성내용들이 많습니다.! )

 

let's go (휴대폰으로 신청했고, 공동 인증서는 필수입니다.)

구글스토어에서 "기금 e 든든" 검색하셔서 설치합니다. 

 

필수적 접근권한 확인 누릅니다. → 사진, 오디오 앱 사용 중에만 허용 → 전화 허용 클릭

 

메인 화면에서 버팀목 전세자금을 클릭합니다.

 

오른쪽 위에 3줄 클릭 → 로그인 클릭 ( 여기서 공동 증명서 필요 )

*버팀목 전세자금에서 밑으로 더 내려가시면 대출한도가 나오는데 신규계약에서 일반가구는 전세금액의 70% 이내에서만 대출이 가능하다고 나와있습니다.

 

 

공동 인증서 선택 → 주민등록번호 입력 → 공동인증서 비밀번호 입력하고 다음 클릭

 

대출 신청 클릭 → 주택 전세자금 대출 클릭 

 

예 클릭 → 1. 신청 준비에서 개인정보, 금융정보, 개인 민감정보, 개인신용정보 체크

 

 

나머지 선택적 동의도 전부 체크 → 정보제공 동의하기 클릭 → 공인인증서 선택하고 비번 입력

 

확인 클릭!

길어서 나누겠습니다~! 2-2~~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2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스크래핑신청하기(Feat. TMI)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2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LH지사방문)


이전 글 이어서 쓰겠습니다.

LH지사에서 1차, 2차, 3차 안내중 

3차는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사안내' 서류를 설명해주시고, 보증금 10%를 납부하는 것입니다.

우선 입사안내 서류를 설명해주십니다.

설명해주시면서 보증금의 10% 납입은 설명이 끝난 후에 입금 시간 알려준다고 하십니다.

( 계좌번호는 위에 국민은행이었습니다. )

보증금이 60만 원이기 때문에 10%는 6만 원입니다.

서류를 보면

1. 입주 지정기간 안에 입주를 안 해도 임대료 부과된다고 합니다. (체결일 60일 이내 입주 ㄱㄱ)

2. 열쇠 수령 시 잔금 입금 완료해야 되고, 최소 3일 전에 예약해야 합니다. ( 체결비용 6만 원 빼고, 54만 원 입금하고 열쇠 수령 신청해야 됩니다.)

나머지 설명은 위 글 읽어 보시면 이해됩니다.

 

저 또한 전환보증금을 이용할 예정이어서 이 부분에서 궁금증이 많았습니다.

 

6. 전환보증금 안내

( 대출에 대한 내용은 안 알려주십니다. 직접 찾아서 원하시는 대출 하셔서 전환보증금 해결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

전환보증금 납부는 기본 임대보증금의 잔금을 납부 후 가능 

(기본 임대보증금은 60만 원이고, 체결 날(10%) 6만 원을 납입했고, 54만을 잔금 납부 후 전환보증금 납부가 가능 하단 내용입니다.)

1-2 글과 밑에 글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본 임대보증금을 입금 계좌와 전환보증금 입금 계좌는 따로입니다.

(혼돈되시면 안 됩니다.)

다시 위 사진 '임대료 및 전환보증금 관련 문의 담당자 연락처'는 이사 갈 지역구 연락처에 전화를 해야 합니다.

( 착각 금지!!! 예를 들면 지금 현재 광진구 사는데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이 서대문구라면 서대문구 연락처에 전화!!)

나머지는 읽어보시면 이해될 겁니다.

 

전환보증금에 대한 문의가 너무 많아서 Q&A를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

1. 전환보증금 제도란?

필수는 아니고 선택입니다. 월 임대료를 하향 조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추후에 다룰 예정인 기금 e 든든(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이번은 패스)

내용은 읽어보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렇게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사안내'가 끝나고, 기본 임대보증금 10%를 납부하시라고 알려주십니다.

그럼 3차 안내는 이렇게 끝납니다.

기본 임대보증금을 납부하고 기다립니다. 시간이 좀 지나고, ( 계약서 서류를 만들어야 됩니다. ㅎ)

기본 임대보증금 6만 원(10%) 납부한 순으로 호명되고, 나가면서 전환보증금 제도 안내문 및 임대차 계약서를 받고 나가면 끝입니다.

 

위 사진과 같이 제가 계약 체결한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전환보증금 한도액은 39,800,000원입니다. (최대치)

 

그리고 이렇게 임대차계약서를 받았습니다. 밑에 보시면 54만 원 잔금이 남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 체결을 했습니다.

 

계약을 체결한 후 저는 살고 있는 집에서 나가기 위해서 집주인분께 방을 빼겠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랬더니 집주인분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해야지만 방을 빼줄 수 있다고 해서 저는 다방, 직방, 근처 부동산에 집을 내놓았습니다.


제가 살던 집을 직방, 다방에 올렸던 자세한 글은 ↓↓

2021.06.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직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직방에 방 내놓기 Part.1(+준비물포함)

2021.06.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다방에 방내놓기] - 직접하는 다방에 방 내놓기 Part.1


 

다음 글은 제가 이용했던 기금 e 든든(버팀목 전세대출) 신청에 대한 글을 다루겠습니다.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2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금e든든 사용하기(버팀목전세자금대출)] - 2-1직접하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기금e든든) 신청하기(Feat. 청년X)

 

반응형
반응형

이전글

2021.06.17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1직접하는 LH공사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및 진행과정 (당첨!)

 


저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 체결을 위해서 계약날짜에 해당 지사를 방문하러 갔습니다.

( 이전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서류는 빠짐없이 챙겨가야 합니다!! 서류 미 준비시 계약 불발이므로 꼭꼭!! 체크 )

계약시간은 오후 2시까지 였고, 30분 전에 도착했습니다.

제가 간 곳은 LH서울 중부권 주거복지 지사를 찾아갔습니다.

 

버스 타고 앞에 도착했을 때는 이렇게 우측으로 돌아가라고 쓰여있어서 우측으로 돌아갔습니다.

 

유리문을 통과해서 왼쪽으로 꺾어서 들어갔습니다.

 

들어가시면 앞에 열체크하고, 소독하시고, 화살표 방향으로 갑니다. ( 화살표 방향 따라가셔서 데스크로 ㄱㄱ )

 

위 사진과 같이 빨간 네모에 QR체크하라고 안내받으시고, 무슨 용무로 오셨는지 물어봅니다.

그럼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 체결하러 왔다고 하시면, 직원분이 편히 앉아 계셨다가 계약한다고 말씀하시면 줄 서주시면 된다고 합니다.

혹시나 해서 와이파이 찍어놨습니다.

오후 1시 50분쯤 되었을 때 직원분들이 오시라고 하셔서 강의실처럼 생긴 곳에서 차례로 줄 서서 도착 확인 사인을 하고, 신분증 확인하고, 체결 안내서류를 받고 강의실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펜 주십니다.)

 

이렇게 강의실에서 간격 유지하고 앉았습니다. 안내서류는 각서 및 서약서, 운영규정, 등등 내용이 있었습니다.

(인원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10~20명? 부모님도 오셔서 그런가..)

체결 안내 설명하기 전에 시간이 조금 있어서 내용을 확인해봤습니다.

 

중요한 건 여기서부터라고 생각했습니다. (임대주택 원상복구 기준입니다. )

 

( 이것도 중요 중요!! )

( 이것도 정말 중요! )

 

마지막 뒷장은 임대료 자동이체 신청서입니다.

( 자동이체를 신청하면 임대료 500원 할인이 있어서 저는 통장사본 가져왔습니다. )

 

오후 2시가 되고, 직원분이 들어오시고 1차, 2차 , 3차로 나눠서 설명을 해주신다고 합니다.

 

하. 지. 만. 먼저 들어왔을 때 사인을 할 걸 그랬습니다. ( 설명을 해주셨지만.. 시간이 촉박... ㅜ )

 

1차는 

서약서 날짜 사인, 설치 품목별 원상복구 기준 사인, 임대료 자동이체 신청서(작성) 순이었습니다.

그렇게 1차 작성을 완료했습니다.

 

2차는

준비해온 서류(이전 글 참조)와 원하는 주택 번호 순서대로 나와서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신분증 지참하고 앞으로 나갔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주택 번호순대로는 주택은 한정되어있고, 예비입주자 중 순번이 빠른 사람이 주택을 선택하면 그 뒷번호 예비 순번자는 그 주택을 선택을 할 수 없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주택을 선택...... 저는 신청한 주택 하나! 예비번호 1번! 경쟁률 0.)

제 이름이 호명되고, 준비해온 서류를 가지고 앞으로 가서 제출하고, 옆으로 가서 원하는 주택 확인하고, 예비번호 쓰고, 이름 쓰고, '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입사 안내' 서류를 받고 다시 제자리로 가서 대기했습니다.

이렇게 2차는 완료되었습니다.

 

글이 길어져서 다음 글로 이어 쓰겠습니다. 1-3~~~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다음글

2021.07.10 - [2021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 1-3직접하는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 계약체결하기 (입사안내)

반응형
반응형

저는 기존에 살던 집에서 딜라이브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으로 들어갔을 때 단독으로 SKB 인터넷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쓰고 있던 딜라이브 인터넷을 해지해야만 했습니다. ( 안 그러면 딜라이브+SKB 요금 이중으로 나가기 때문입니다. )

오늘은 약정기간이 남았던 딜라이브 인터넷 해지에 대해서 쓰겠습니다.

이것 때문에 암유발을 몇 번이나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 이 글을 보시고 해지하실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그럼 let's go ( 대부분 글이라서 버거울 수도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이사 가기전부터 저는 딜라이브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여러 가지를 물어봤었습니다.

( 하도 인터넷 해지방어를 심하게 한다고 인터넷 정보가 떠돌아서요. 사실이 그랬습니다. 쒸익쒸익)

 

딜라이브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1644-1100 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략 10번 이상 딜라이브 고객센터를 전화했었습니다. 이유는 그렇습니다.

저는 딜라이브 인터넷 계약 약정기간은 남았었고, 이사 가는 곳은 LH기숙사형 매입임대주택인데 거긴 SKB단독 인터넷 설치가 된 곳입니다. 그래서 저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딜라이브 인터넷 해지가 필요했습니다.

(제가 이사할 곳 LH관리자분에게 물어봐서 설치되어 있는 인터넷 담당자와 통화해서 SKB라고 확인받고, 단독 인터넷 건물이라고 확인까지 했습니다.)

딜라이브 상담원에게 계약 중도 해지도 물어보고, 이사 갈 집에 단독 인터넷 건물이라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상담도 여러 번 했었습니다. ( 딜라이브 상담원에게 이전 설치할 곳 조회해서 SKB단독 인터넷으로 뜨는지 문의했지만 타사껀 안 뜬다고 합니다. )

얼마 남지도 않은 계약기간(약 2~3개월)에 중도해지하면 2~30만 원을 중도 계약비용을 내 야한 다고 했습니다.

또한 이전 설치 시 딜라이브 설치기사가 확인하고 설치가 가능하면 설치비용을 추가로 44,000원을 내셔야 한다고 합니다.

( 해지 방어하려고 별의 별소리를 다합니다. )

제가 찾아본 인터넷 정보에서는 이전 설치 신청하고, 당일날 설치기사가 와서 확인하고 단독 인터넷 건물이면 이전 설치가 불가능해서 장비(모뎀+와이파이) 반납하고, 전입신고서(주민등록등본)만 보내주면 끝나는 걸로 알고 있었습니다.

직접 딜라이브 고객센터에서도 이전 설치 날 설치기사분이 오셔서 단독 인터넷 건물인지 확인하고, 이전 설치 불가능이면 바로 장비 반납하고, 주민등록등본만 보내주면 끝이라고 상담원에게 들을 수 있어서 안심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또한 설치기사분이 언제 연락이 오는지 물어봤고 이사 전날인 7월 7일 날 연락이 올 거라고 했습니다. 

7월 7일이 되는 날 설치기사분이 연락이 오셔서 7월8일 날 오전10시로 이전설치신청하셨냐고 되물으시길래 저는 시간을 정한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오후 1시 ~ 2시 사이로 방문오시라고 전달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7월 8일날 아침에 이사를 부랴부랴 하고, 딜라이브를 기다렸습니다. ( 이사 정리하랴 이것저것 확인하느냐고 점심도 안 먹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시간 맞춰서 딜라이브 설치기사분이 오셨고, 통신실이 어디냐고 물어보시고, 관리자분이 부재중이셔서 같이 보러 갔습니다. 단독 인터넷 건물이라고 해서 이전 설치가 불가능한 곳이라고 말하십니다. 그래서 저는 장비(모뎀+와이파이)를 반납하면 해지가 되는지 물었더니.. 하는 소리가 시공업체가 와서 확인하고 설치 가능한지 확인해야 된다고 합니다. (???) 또한 자기는 이전 설치확인 유무만 하는 거라고 말만 하고 가려고 하시길래 그럼 어떻게 하냐고 물어봅니다.

그랬더니 딜라이브 고객센터 전화해서 물어보라고 합니다. (여기서부터 암 유발 시작했습니다.)

고객센터 전화해서 설치기사분이 오셔서 단독 인터넷 건물이라서 이전 설치가 불가능이라고 딜라이브에 메모를 남기셨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장비 철거는 언제 하는지 물어봤더니 돌아오는 소리는 해지부서가 담당이라서 해지부서를 통해서 해야 된다고 합니다. 그건 언제 연락 오냐고 물어봤더니 오늘 중으로 연락한다고 합니다. 계속 기다릴수가 없어서 몇시에 오는지 알려달라고 했더니 시간은 모르고 오늘중으로 연락한다고 합니다.

 저번에 이전 설치할 때 상담원에게 물어봤을 때는 이사 당일에 단독 인터넷 건물이고, 이전 설치 가불 가능한 장소이면 기사분이 장비(모뎀+와이파이)를 가져가시고, 전입신고한 것 보여들이면 해지가 가능하다고 상담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딜라이브 상담원은 해지부서로 메모 남겨놓은다고 합니다. 말이 계속 달라져서 그럼 반납은 또 언제 해야 되는 건지도 물어봤더니 2주 후에 가능하다고 합니다. (말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이랬다 저랬다.)

하도 믿을 수가 없어서 전화받고 있는 상담원 이름이랑 다 받아 적었습니다. ( 이전 설치기사분 연락 오는 것도 아침에 10시 예약도 제가 하지도 않았는데.. 신뢰가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 그리고 상담원은 해지부서 직원이 오늘 중으로 연락이 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2시간 정도가 지나서 카톡이옵니다.

'가입서비스 해지 접수로 8월 23일 장비 회수 예정입니다.'라는 글이 옵니다.

또다시 딜라이브 고객센터에 전화를 겁니다. ( 해지부서에서 전화가 온다고 들었더니 카톡 문자만 저렇게 왔습니다. )

전화 걸어서 또 기존 집주소 물어보고, 이사 온 집 물어보고, 본인 확인 물어보고 합니다.

( 전화할 때마다 물어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그리고 왜 8월 23일에 장비 회수 예정인지 물어봤고, 해지부서는 연락이 온다고 했는데 연락좀 달라고

또 기다렸습니다.

 

드디어 딜라이브 해지부서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카톡에 대한 문자 8월 23일에 장비회수 예정이 저와 협의 없이 된 건지 물어봤습니다. 그건 마지막 결제일이라고 합니다.

이유인즉슨 6월 요금은 7월에 납부하고, 7월달 요금은 8월에 납부하기 때문에 그 납부 날 마지막을 이야기한다고 합니다.

해지부서는 우선 불편을 드려서 죄송하다고 합니다. 알았다고 하고, 장비 회수를 당일날 해주셔야지 2주라는 시간이 또 걸리시냐고 되물었습니다. 지역구 처리가 달라서 이렇게 불편을 드렸다고 합니다.

해지부서 직원 말에 의하면 자기 담당구역은 성북구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사 온 지역은 종로구 이기 때문에 장비 반납은 종로구 기사가 반납을 처리한다고 해서 2주 정도 기간이 걸린다고 알려줬습니다. 당일이 되면 당일처리로 해달라고 하고, 장비 반납해드린다고했습니다. 마냥 처리될때 까지 기다릴수 없기 떄문이였습니다. 그리고 성북구해지부서직원분이 해지확인되면 종로구 설치기사(아까 이전설치기사)가 장비를 찾아 간다고 합니다. 해지부서직원분께 물어봐서 7월달 요금 확인하고, 장비반납해드린다고 하고 전화를 끊었습니다.

30분 뒤에 아까 온 설치기사가 장비를 가지고 갔습니다.

이로써 지긋지긋한 딜라이브 인터넷 해지를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 다시는 딜라이브 안쓸 것 같습니다.

요약은 이러합니다.

 

끄읏~

            클래레를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라도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